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 4현 곡경비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5 22:16
본문
Download :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 4현 곡경비파.hwp
서기 6-7세기 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2…(생략(省略))
설명
중국,한국,일본에 고대로부터 비파(琵琶)라는 명칭으로 전해오는 악기들의 역사를 연구하는, 악기학-음악화상학-음악고고학-음악박물관학의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음악학 논문의 두번째로, 4현을 지니고 줄감개를 포함한 목이 직각으로 뒤로 굽은 형태의 비파의 기원과 발달사를 가려 뽑은 동아시아 문헌과 음악고고학 유물로 추적한다.中國,한국,일본에 고대로부터 비파(琵琶)라는 명칭으로 전해오는 악기들의 歷史를 연구하는, 악기학-음악화상학-음악고고학-음악박물관학의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음악학 논문의 두번째로, 4현을 지니고 줄감개를 포함한 목이 직각으로 뒤로 굽은 형태의 비파의 기원과 발달사를 가려 뽑은 동아시아 문헌과 음악고고학 유물로 추적한다.비파형악기의기원과발달사I-4현곡경비파(수원과학대학논문집제29호789-822쪽(2007년) ,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 4현 곡경비파예체능레포트 ,
순서
다.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 4현 곡경비파
Download :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 4현 곡경비파.hwp( 88 )
레포트/예체능
,예체능,레포트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204%ED%98%84%20%EA%B3%A1%EA%B2%BD%EB%B9%84%ED%8C%8C_hwp_01.gif)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204%ED%98%84%20%EA%B3%A1%EA%B2%BD%EB%B9%84%ED%8C%8C_hwp_02.gif)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204%ED%98%84%20%EA%B3%A1%EA%B2%BD%EB%B9%84%ED%8C%8C_hwp_03.gif)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204%ED%98%84%20%EA%B3%A1%EA%B2%BD%EB%B9%84%ED%8C%8C_hwp_04.gif)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204%ED%98%84%20%EA%B3%A1%EA%B2%BD%EB%B9%84%ED%8C%8C_hwp_05.gif)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204%ED%98%84%20%EA%B3%A1%EA%B2%BD%EB%B9%84%ED%8C%8C_hwp_06.gif)
비파형악기의기원과발달사I-4현곡경비파(수원과학대학논문집제29호789-822쪽(2007년)
Abstract
들어가는 글
1. ‘목이 굽은(曲頸) 4絃비파(琵琶)’의 기원
1.1. 고고화상학(考古畵像學)적 data(資料)
1.1.1. 중앙아시아와 china
1.1.2. 한국과 Japan
1.2. 문헌학(文獻學)적 data(資料)
1.2.1. china측 문헌data(資料)
1.2.2. 한국측 문헌data(資料)
나오는 글
서지사항
류트형태의 탄현악기, 즉 ‘목이 굽은(曲頸) 비파’의 고고화상학적 data(資料)는 서기 50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난다. 중앙아시아 타림분지(塔里木盆地)에 번성했던 고대 구자국(龜玆國)의 세력권에 들어 있었던 작은 오아시스 도시 키질의 베이산(北山) 절벽에 7∼8세기에 조영(造營)된 석굴사원(石窟寺院)에서 인류학자이자 인도불교미술사학자 그륀베델(Albert Grünwedel)이 이끄는 독일 탐험대에 의해 - 서구중심적 시각에서는 ‘발견‘되어, 중앙아시아 시각에선 ’약탈‘되어 - 독일 베를린으로 옮겨진 벽화들에 그려진 류트형 악기들은 대부분이 ‘목이 곧은(直頸) 5絃비파’이지만, 예외적으로 ‘목이 굽은(曲頸) 비파’도 하나 발견된다 (각주10-Albert Grünwedel: Alt-Kutscha, Taf. XXIV-XXV.) 1907년 영국의 A. 스타인이 이끈 영국 탐험대와 그 다음해 프랑스 탐험대의 P.펠리오에 의해 서방세계에 알려진 둔황(敦煌)에서 25km 떨어진 석굴(石窟)의 무수한 벽화에선 류트/비파형태의 악기들이 다수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