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theory(이론)의 인간관과 주요관념, 사회학습theory(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23:51
본문
Download :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인간관과 주요개념, 사회학습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hwp
정신分析(분석)학자는 인간이 무의식적 정서에 의해 지배된다고 하고, 행동주의자들은 인간이 environment에 의해 지배된다고 하였다. 이들은 인간이 무의식적 정서의 effect을 받지만 이를 극복할 인지적 능력도 갖고 있다고 본다. 정신分析(분석)학자는 인간이 무의식적 정서에 의해 지배된다고 하고, 행동주의자들은 인간이 environment에 의해 지배된다고 하였다.
행동theory 의 제 요소에 인지요인을 포함시킨 반두라의 사회학습theory 은 다음의 몇 가지 기본관점을 갖는다. 즉, 반두라는 강화가 대리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고 보았다.
%EC%9D%98%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9D%B8%EA%B0%84%EA%B4%80%EA%B3%BC%20%EC%A3%BC%EC%9A%94%EA%B0%9C%EB%85%90,%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7%90%EC%9D%98%20%EC%A0%81%EC%9A%A9_hwp_01.gif)
%EC%9D%98%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9D%B8%EA%B0%84%EA%B4%80%EA%B3%BC%20%EC%A3%BC%EC%9A%94%EA%B0%9C%EB%85%90,%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7%90%EC%9D%98%20%EC%A0%81%EC%9A%A9_hwp_02.gif)
%EC%9D%98%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9D%B8%EA%B0%84%EA%B4%80%EA%B3%BC%20%EC%A3%BC%EC%9A%94%EA%B0%9C%EB%85%90,%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7%90%EC%9D%98%20%EC%A0%81%EC%9A%A9_hwp_03.gif)
%EC%9D%98%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9D%B8%EA%B0%84%EA%B4%80%EA%B3%BC%20%EC%A3%BC%EC%9A%94%EA%B0%9C%EB%85%90,%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7%90%EC%9D%98%20%EC%A0%81%EC%9A%A9_hwp_04.gif)
%EC%9D%98%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9D%B8%EA%B0%84%EA%B4%80%EA%B3%BC%20%EC%A3%BC%EC%9A%94%EA%B0%9C%EB%85%90,%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7%90%EC%9D%98%20%EC%A0%81%EC%9A%A9_hwp_05.gif)
%EC%9D%98%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9D%B8%EA%B0%84%EA%B4%80%EA%B3%BC%20%EC%A3%BC%EC%9A%94%EA%B0%9C%EB%85%90,%20%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7%90%EC%9D%98%20%EC%A0%81%EC%9A%A9_hwp_06.gif)
레포트/사범교육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theory 의 인간관과 주요개념(槪念), 사회학습theory 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목차
반두라의 사회학습theory
I. 인간관과 기본관점
II. 주요개념(槪念)
1. 상호적 결정주의
2. observation학습
1) 주의과정
2) 기억과정
3) 운동재생과정
4) 동기화과정
3. 자기효능감
III.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Reference List
반두라의 사회학습theory
I. 인간관과 기본관점
반두라는 인간의 인지적 능력에 초점을 둔 사회학습theory 가다.
셋째, 사회학습theory 은 인간에 대해 적극적 관점을 갖는다. 이에 반해 사회학습theory 가들의 관점은 다르다. 이는 인간이 자신의 삶의 질을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인간관과 주요개념, 사회학습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hwp( 18 )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인간관과 주요개념, 사회학습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인간관과 주요개념, 사회학습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사범교육레포트 , 반두라 bandura 사회학습이론 인간관과 주요개념 사회학습이론 사회복지실천 적용
반두라,bandura,사회학습이론,인간관과,주요개념,사회학습이론,사회복지실천,적용,사범교육,레포트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theory(이론)의 인간관과 주요관념, 사회학습theory(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설명
순서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theory(이론)의 인간관과 주요관념, 사회학습theory(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다. 또 environment이 인간에게 effect을 미치지만 인간은 특정한 상황을 피해 갈 수 있고, 인간 스스로 물리적, 사회적 environment을 조정하면서 자기통제를 할 수 있다고 보...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theory 의 인간관과 주요개념(槪念), 사회학습theory 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목차
반두라의 사회학습theory
I. 인간관과 기본관점
II. 주요개념(槪念)
1. 상호적 결정주의
2. observation학습
1) 주의과정
2) 기억과정
3) 운동재생과정
4) 동기화과정
3. 자기효능감
III.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Reference List
반두라의 사회학습theory
I. 인간관과 기본관점
반두라는 인간의 인지적 능력에 초점을 둔 사회학습theory 가다.
둘째, 인간은 개인, 행동, environment요인의 `세 가지 상호原因모델(triadic reciprocal causation model)`을 통해 자신의 삶을 조절해 나갈 능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능력이 없으면 인간은 단순히 감각적 경험에만 反應(반응)할 것이며, 사건을 예측할 능력이나 새로운 생각을 창조할 능력, 당면한 경험을 分析(분석)하기 위해 내적 기준을 활용하는 능력이 결여될 것이다. 또 environment이 인간에게 effect을 미치지만 인간은 특정한 상황을 피해 갈 수 있고, 인간 스스로 물리적, 사회적 environment을 조정하면서 자기통제를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첫째, 인간의 두드러진 characteristic(특성)은 유연성으로, 모든 인간은 여러 상황에서 다양한 행동을 학습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반두라는 직접적 경험을 통해 배운다는 스키너의 theory 에 동의했지만 대리적 학습, 타인에 대한 observation을 통한 학습을 더 많이 강조하였다. 이들은 인간이 무의식적 정서의 effect을 받지만 이를 극복할 인지적 능력도 갖고 있다고 본다. 이에 반해 사회학습theory 가들의 관점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