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군사주의, 여성, 탈군사화를 위한 대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5 18:12
본문
Download : 군사주의, 여성, 탈군사화를 위한 대안.hwp
이란, 이라크, 북한을 악의 축으로 명명하면서, 마치 세계평화를 지키는 자와 위협하는 자와의 대립으로 극대화시켰다.
일반인을 군인으로 바꾸고 죄의식 없이 적을 죽이고, 나아가 죽임의 행위를 애국심으로 전환하는 메카니즘은 적을 죽이는 행위를 거룩한 행위로 만드는 신화에서 정당…(skip)
Download : 군사주의, 여성, 탈군사화를 위한 대안.hwp( 26 )
순서






군사주의, 여성, 탈군사화를 위한 대안
레포트/인문사회
세계적 군사화부터 남한의 군사화까지 군사화된 사회(militarized society)가 어떻게 여성의 삶에 影響(영향)을 미치는지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것
설명
up군사주의여성탈군사화를위한대안
다. “나와 함께 하지 않으면, 너희들은 적이다.” 아군-적군, 선-악의 이분법적 구도로 세계를 적대적으로 분리시킨 이 전쟁선언은 2002 새해 국정연설에서도 계속 이어졌다.
세계적 군사화부터 남한의 군사화까지 군사화된 사회(militarized society)가 어떻게 여성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것up군사주의여성탈군사화를위한대안 , 군사주의, 여성, 탈군사화를 위한 대안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Ⅰ. 스타트하면서
Ⅱ. 군사적 이원화와 여성
Ⅲ. 남한의 군사화
1. 군사화 과정에서의 세 가지 이데올로기
2. 세 가지 이데올로기와 여성인권
3. 징병제와 군사화된 사회
Ⅳ. 끝맺으면서 : 탈군사화를 위한 여성행동
군사주의는 적을 필요로 한다. 부시가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정권들이 가장 위험한 무기로 우리에게 위협을 가하도록 내버려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선제공격의 가능성도 마다하지 않는 암시를 주었을 때, 옛 냉전시대의 군사화는 냉전시대 이후의 군사화의 맥락에서 재강화되고 있었다.
새로운 적의 창출과 군사비 증대 이면에, 눈여겨 볼 점은 군사주의의 메카니즘이 적을 만들고 적에 대한 증오심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인간을 폭력적으로 황폐케 만드는가 하는 점이다.
부시가 아프간과의 전쟁을 선포했을 때, 세계적 지지를 호소하면서 유명한 말을 남겼다. 전쟁과 군대가 성립되고, 존속되기 위해서는 ‘우리’와 다른, ‘타자’로서의 적의 존재는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그런 짐승이나 사물같은 존재는 아무렇게도 취급해도 되고 죽여도 된다는 관념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우선, 적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 ‘타자’로서의 적은 ‘우리’의 부정어이고, ‘우리’의 정체성은 ‘타자’를 부정함으로써 확인된다 적은 하나의 대상으로 비인간화되면서 짐승이나 악마로 선전되고, 그 이미지는 ‘우리’ 가定義(정의) 안전을 위협하는 폭력적이고, 잔인하고, 공격적이고, 야만적인 것으로 그려진다 (Keen, 1988). 북한인이 빨간 도깨비로 표현되거나 국가정보원에 의해 쥐나 양의 탈을 쓴 늑대로 그려지는 것도 그 한 예이다. 미국은 MD의 추진을 계속하는 가운데, 2002년도 국방비를 480억 달러가 증가한(14%) 3,790억 달러로 예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