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출석수업대체시험 project물(형태소, 이형태, 교체, 기본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4:18
본문
Download : 20201출석대체_국문3_우리말의구조_공통.zip
1) 형태소
3) 교체
5. 파생어.hwp
III. 결 론
1) 형태소
1. 형태소, 이형태, 교체, 기본형
- 목 차 -





출처
이형태는 ‘꽃’(花)이 environment에 따라 /꽃/, /꼳/, /꼰/ 등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형태소가 이처럼 의미와 말소리의 형식이 결합된 추상적 단위라고 할 때, 이 말소리의 형식을 담당하는 부분을 보통 형태라고 부른다.
2) 파생어
6. 합성어.hwp
9. 형태소의 定義(정의) 1.hwp
다. 단어는 형태소보다 더 큰 언어단위이지만 더 기본적인 언어단위를 말한다. 형태적으로 조건된 교체는 음운적으로 설명(explanation)이 되지 않으며, ‘가거라’와 ‘오너라’에서 명령형 어미로 ‘-거라’와 ‘-너라’가 쓰이는 것이다.
1. 형태소, 이형태, 교체, 기본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說明)하시오.
2. 기본형.hwp
4) 기본형
설명
- 중략 -
II. 본 론
I. 서 론
11. 형태소의 종류.hwp
2) 이형태
우리말의구조,방통대우리말의구조,방송대우리말의구조,우리말의구조과제물,우리말의구조과제,우리말의구조출석수업대체
형태소와 단어는 모두 의미를 가지고 있는 문법단위이다.
7. 형태소 分析(분석).hwp
II. 본 론
1. 교체.hwp
4. 이형태 2.hwp
2. 합성어와 파생어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說明)하시오.
Download : 20201출석대체_국문3_우리말의구조_공통.zip( 80 )
2. 합성어와 파생어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1. 형태소, 이형태, 교체, 기본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2. 합성어와 파생어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형태소, 이형태, 교체, 기본형 1) 형태소 2) 이형태 3) 교체 4) 기본형 2. 합성어와 파생어 1) 합성어 2) 파생어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교체.hwp 2. 기본형.hwp 3. 이형태 1.hwp 4. 이형태 2.hwp 5. 파생어.hwp 6. 합성어.hwp 7. 형태소 분석.hwp 8. 형태소의 갈래와 유형.hwp 9. 형태소의 정의 1.hwp 10. 형태소의 정의 2.hwp 11. 형태소의 종류.hwp
3. 이형태 1.hwp
2020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출석수업대체시험 project물(형태소, 이형태, 교체, 기본형)
10. 형태소의 定義(정의) 2.hwp
형태소는 최소의 유의적 단위를 말한다. ‘아버지’에서 ‘아’나 ‘버’나 ‘지’가 없는 ‘버지, 아지, 아버’와 같은 말은 ‘부(父)’라는 의미를 우리 에게 온전하게 전해 줄 수 없다. 형태소에는 문법적 의미(기능)을 가진 것도 있고 어휘적 의미를 가진 것도 있다 `푸른`은 `푸르-`와 `-(으)ㄴ`의 두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다 문장에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자립성 유무의 기준에 의해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로 나뉜다. 음운적으로 조건된 교체는 주격조사가 자음 아래에서 ‘이’, 모음 아래에서 ‘가’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형태소’는 ‘최소의 유의적 단위’ 곧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로서 문법단위 가운데 가장 작은 단위이다. / ‘밝-, 뜨-’가 의존형태소이면서 실질형태소이다.
1. 형태소, 이형태, 교체, 기본형
I. 서 론
1) 합성어
순서
8. 형태소의 갈래와 유형.hwp
<< 함께 제공되는 참고 한글파일 >>
이 레포트(report) 는 우리말의 형태소, 이형태, 교체, 기본형의 예를 설명(explanation)하고, 합성어와 파생어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explanation)하였다. 이와 같이 의미와 형태가 결합된 최소의 단위를 형태소라고 부른다. 형태소가 가진 의미가 실질적인 개념(槪念)을 나타내느냐 형식적인 관계를 나타내느냐에 따라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로 나뉜다. 모음조화라는 음운적 조건으로 교체는 ‘보아라’와 ‘주어라’에서 명령형 어미로 ‘-아라’와 ‘-어라’가 쓰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