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교육 방법으로서의 간접전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3:35
본문
Download : 도덕교육의 방법으로.hwp
임병덕 교수의 ‘도덕교육의 방법으로서의 간접전달’이라는 글을 통해 본 교육의 철학적 고찰 및 진리교육.
다. 또한 소크라테스의 경우,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진리의 내용을 대화의 저편, 그 이면에 감추고 그의 발언으로부터 자신을 떼어내는 아이러니적 자세를 취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이 갖고 있던 삶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의 방식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소크라테스가 학습자에게 질문만을 제기하고 그 해답을 주지 않은 채 떠나가는 반면에, 키에르케고르의 경우에는 학습자에게 진리를 추구하는 자세를 갖도록 유도하는 질문을 한 후, 학습자가 그 진리를 추구하면서 답을 구할 때, 그 해답을 제시해 주는 교육방식을 취하고 있따





도덕교육 방법으로서의 간접전달
교육 철학, 교육은 가능한가, 도덕 교육의 방법으로서의 간접전달, 교육의 간접 전달
순서
레포트 > 교육계열
설명
임병덕 교수의 ‘도덕교육의 방법으로서의 간접전달’이라는 글을 통해 본 교육의 철학적 고찰 및 진리교육.
Download : 도덕교육의 방법으로.hwp( 69 )
임병덕 교수의 ‘도덕교육의 방법으로서의 간접전달’이라는 글의 주요 질문은 이홍우 교수의 ‘삶과 공부’에서 제기된 ‘교육은 가능한가?’라는 주제와 많이 유사하다고 볼 수 있따 이 글에서는 도덕적 지식의 전달이 과연 가능한지에 대해 묻고 있는데, 그 답으로 예수와 소크라테스의 교육을 예로 들고 있따 예수와 소크라테스는 교사로서의 자신이 철저하게 파라독스적 존재 양상을 갖게 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진리를 추구하는 마음가짐을 갖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