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세계의歷史와culture]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 서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1:35
본문
Download : 제3세계의역사와문화 , 서평.hwp
Ⅰ. 서 론
베른트 잉그마르 구트베를레트, 이지영 역, 歷史의 오류, 열음사, 2008
우리나라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와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서 버젓이 일어나는 일이니 남의 나라 교과서만 탓할 일이 아닐것이다. 이 책이 앞으로 더 나은 교과서가 만들어지는 데 작은 불씨가 되고, 동료 한국인들이 편견 없이 더 정확하게 다른 文化(culture) 를 이해하여 더 나은 세계 인식과 文化(culture) 포용력을 갖추게 되는 고민의 장이고 소통의 통로가 되기를 바란다. [참고자료] 이옥순 외,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삼인, 2007 강택구, 세계의 역사교과서 협의, 백산자료원, 2008 베른트 잉그마르 구트베를레트, 이지영 역, 역사의 오류, 열음사, 2008 타케미츠 마코토, 이진복 역, 세계 지도로 역사를 읽는다, 황금가지, 2009
Ⅲ. 결 론
제3세계의역사와문화, 세계사교과서바로잡기, 세계사교과서, 오류와편견, 서평, 문화교양, 세계사교과서바로잡기서평, 세계사,
Download : 제3세계의역사와문화 , 서평.hwp( 35 )
[참고reference(자료)]
2년 동안 각 지역의 文化(culture) 를 연구해온 전문가 일곱 명이 교과서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바람직한 길잡이를 제시하자는 데 의기투합하면서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작업이 스타트되었다.
순서
저자, 이옥순은 숭실대에서 역싸를 공부한 뒤 델리 대학에서 인도 역싸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연세대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인도의 역싸와 사회, 文化(culture) 를 가르치고 근대 인도사를 연구하고 있다 인도에 관한 우리 사회의 편향되고 왜곡된 관점을 이야기한 우리 안의 오리엔탈리즘 , 식민지 조선의 희망과 절망, 인도 를 지었고 여성적인 동양이 남성적인 서양을 만났을 때 와 위대한 영혼, 간디 등 근대 인도의 슬프고도 아름다운 움직임을 담은 역싸서를 썼다. 이들은 교과서 왜곡과 오류의 원인으로 서구나 중국(China) 중심의 시각과 적대적 이해 당사자의 관점 고스란히 반영, 자유 집필 뒤 검정 단계를 거치는 2종 체계로 전환하면서 집필자의 성향과 참고 자료의 편중에 따라 내용 왜곡, 전문가의 충분한 검정 부족 등을 꼽았다. 강택구, 세계의 歷史교과서 협의, 백산reference(자료)원, 2008
책은 이옥순(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교수, 이희수(한양대 文化(culture) 인류학과) 교수, 이종득(덕성여대 스페인어) 교수 등 그동안 각 지역의 文化(culture) 와 역싸를 연구해온 전문가 일곱 명이 모여 2년에 걸쳐 작업한 결과물이다.
집필진에는 이론(理論) 연구뿐 아니라 오랜 현지조사 경험을 갖추어 해당 지역 · 文化(culture) 관련 국내 학계를 대표할 수 있는 각 분야 전공 학자들이 참여했다. 중앙유라시아는 이평래(한국외대 역싸文化(culture) 연구소), 동남아시아는 조흥국(부산대 국제전문대학원), 인도는 이옥순(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서아시아-이슬람 분야는 이희수(한양대 文化(culture) 인류학과), 아프리카는 한건수(강원대 文化(culture) 인류학과), 라틴아메리카는 이종득(덕성여대 스페인어과), 그리고 오세아니아는 이태주(한성대 교양과 文化(culture) 인류학)가 각각 맡았다.
이옥순 외,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삼인, 2007
[참고 문헌]
레포트 >
이옥순 외,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삼인, 2007 을 읽고, 서평을 했습니다. 심지어는 ‘니그로 인종’이란 말까지 나와 인종 定義(정의) 의 과학적 정당성을 의심하는 현대의 논의를 비웃고, 용어의 역싸적 배경에서 비롯한 인종 비하적 함의까지 무시한다. .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삼인)는 결코 제대로 된 ‘세계사’라고 보기 어려운 현행 세계사 교과서의 오류와 편견을 조목조목 지적한다.





[제3세계의歷史와culture]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 서평
다.
Ⅱ.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이옥순 외, 삼인, 2007) 서평
이옥순 외,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삼인, 2007 을 읽고쓰기, 서평을 했습니다. 다신교적 定義(정의) 으로 오해할 여지가 다분하고 뜻을 풀이하면 ‘하느님 신’이 되는 이상한 표현인 ‘알라 신’이 아직도 등장한다. 그 외에도 인도의 빛과 그림자를 소개한 대중서들과 대학 밖에서 이뤄지는 강의와 글쓰기를 통해 인도를 제대로 조명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설명
Ⅰ. 서 론
타케미츠 마코토, 이진복 역, 세계 지도로 歷史를 읽는다, 황금가지, 2009
서양이 하면 정복과 진출인데, 동양이 하면 약탈과 침략이다.